Crypto-rwa
2025. 8. 23. 12:25
실제 거래 가능한 RWA(실물자산 토큰화) 관련 코인 총정리
최근 블록체인 업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키워드 중 하나는 바로 **RWA(Real World Asset, 실물자산 토큰화)**입니다.
이 개념은 부동산, 채권, 금과 같은 전통 자산을 블록체인 위에서 토큰화하여 누구나 쉽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.
오늘은 현재 실제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주요 RWA 관련 코인들을 분석해보고, 각각의 목적·시가총액·현재 가격·주요 거래소를 비교해 보겠습니다.
---
왜 RWA 관련 코인에 주목해야 하는가?
1. 투자의 문턱을 낮춘다 → 원래는 큰 자본이 필요한 자산도 소액으로 분할 투자 가능
2. 유동성 강화 → 부동산, 채권 등 비유동성 자산을 빠르게 거래할 수 있는 시장 형성
3. 투명성 확보 → 블록체인 위에 기록되어 위·변조가 어려움
4. 글로벌 금융과의 접점 → 기관 투자자와 개인 투자자 모두에게 새로운 투자 기회 제공
아래 글은 2025-08-23(Asia/Seoul) 기준 데이터로 작성했습니다. 시가총액과 가격은 실시간으로 변동되니, 최신 수치를 꼭 재확인하세요.
1) 체인링크(LINK)
왜 RWA 핵심? 실물자산 가격·금리·지수(예: 금리·환율·원자재) 등을 온체인으로 안전하게 공급하는 오라클 표준. RWA 담보 평정·청산에도 필수.
국내 접근성: 업비트·빗썸 상장.
2) 온도 파이낸스(ONDO)
무엇을 토큰화? 미 국채·MMF 수익을 DeFi로 연결(예: USDY·OUSG 등 생태계). 토큰화 수익물의 유통·유동성 확대.
국내 접근성: 업비트·빗썸·코인원·코빗 모두 상장.
3) 알고랜드(ALGO)
강점: 빠른 결제 확정과 낮은 수수료의 L1. 정부/기관 파트너십을 통해 자산등기·결제형 RWA 활용이 활발.
국내 접근성: 업비트·빗썸 상장.
4) 메이커(MKR)
역할: 스테이블코인 DAI 담보 체계/금리(DSR) 설계, 실물자산 기반 리스크 관리 확대. MKR은 거버넌스 핵심.
국내 접근성: 빗썸 상장(MKR/KRW).
5) 팍스골드(PAXG)
무엇과 1:1? LBMA 금고의 실물 금 1온스에 연동된 토큰. 전통 금 투자 접근성을 크게 낮춤.
국내 접근성: 빗썸·코빗 상장(KRW 마켓).
6) 맨트라(OM)
방향성: 규제 친화형 RWA L1을 슬로건으로 RWA 발행·대출 인프라 지향. (4월 급락 이슈 이후 거버넌스·유통 구조 개선 논의)
국내 접근성: 업비트·빗썸 상장.
7) 센트리퓨지(CFG)
무엇을 연결? 기업 매출채권·부동산 담보 등 오프체인 채권을 온체인 유동화(Tinlake), 기관 투자 연계.
국내 접근성: 코인원·코빗 상장(KRW 쌍 존재).
8) 폴리메시(POLYX)
차별점: 증권형토큰(STO) 전용 체인. KYC/규제 준수 내장으로 증권·채권 토큰화에 특화.
국내 접근성: 업비트·빗썸 상장.
---
투자 체크리스트
유동성·상장 거래소: 국내 KRW 마켓 존재 여부가 초보자 접근성에 매우 중요(입출금/원화 직거래).
규제·보관 리스크: 실물자산 수탁·감사 체계(예: 금, 채권 커스터디)와 법적 구조(증권성 여부)를 반드시 확인.
가격 변동성: RWA라고 해서 변동성이 낮다는 보장은 없음. 특히 거버넌스 토큰은 크게 흔들릴 수 있음(OM 사례 참고).
---
데이터 출처(최신 시세/시총 확인용)
시가총액/가격: 체인링크(LINK), 온도(ONDO), 알고랜드(ALGO), 메이커(MKR), 맨트라(OM), 센트리퓨지(CFG), 폴리메시(POLYX), 팍스골드(PAXG) — CoinMarketCap/CoinGecko.
국내 거래소 상장 확인:
업비트: LINK, ONDO, ALGO, POLYX, OM.
빗썸: LINK, ONDO, MKR, POLYX, OM, PAXG.
코인원/코빗: ONDO, CFG, PAXG 등.
> 면책 고지: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.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며, 최종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.